최초작성일 : 2025. 7.18.
1. 학기당 수강신청 학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규정 제32조)
가. 수강신청 : 학기당 10학점 이내.
수강신청시간 중 학생지원시스템에 9학점까지 수강신청
나. 초과학점 : 학과(부)장 및 전공주임의 추천과 총장의 승인으로 12학점까지 가능
초과학점 신청시 별도의 신청서 작성 (신청방법 추가 작성 필요..)
다. 보충과목 : 학부와 다른 전공의 대학원 진학시 학부과목 추가 이수를 위해 지도교수님에 의해 '보충과목' 수강할수있음
해당 학위과정의 과목(논문연구 포함) 병행 이수 : 12학점 이내
석사과정에서 보충과목(학부과목)만 이수할 경우 : 21학점 이내
2. 교과목 이수 기준
가. 수료학점 및 영역별 이수학점 (교육과정편성및운영규정 제42조1항)
< 2014-2022 교육과정 적용자 > |
| < 2023이후 교육과정 적용자 > | ||||||||||
전공별 학위과정 | 전공 | 일반선택 | 논문연구 | 수료학점 |
| 전공별 학위과정 | 전공 | 일반선택 | 논문연구 | 수료학점 | ||
AI 전공 | 석사 | 18학점 이상주1) | 6학점 | 24학점 이상 |
| AI 전공 | 석사 | 18학점 이상주1) | 6학점 | 24학점 이상 | ||
박사 | 27학점 이상주1) | 9학점 | 36학점 이상 |
| 박사 | 27학점 이상주1) | 9학점 | 36학점 이상 | ||||
석ㆍ박 통합 | 48학점 이상주1) | 12학점 | 60학점 이상 |
| 석ㆍ박 통합 | 45학점 이상주1) | 12학점 | 57학점 이상 | ||||
의생명융합 전공 | 석사 | 18학점 이상주2) | 6학점 | 24학점 이상 |
| 의생명융합 전공 | 석사 | 18학점 이상주2) | 6학점 | 24학점 이상 | ||
박사 | 27학점 이상주2) | 9학점 | 36학점 이상 |
| 박사 | 27학점 이상주2) | 9학점 | 36학점 이상 | ||||
석ㆍ박 통합 | 48학점 이상주2) | 12학점 | 60학점 이상 |
| 석ㆍ박 통합 | 45학점 이상주2) | 12학점 | 57학점 이상 |
주1) AI전공 : 일반선택 불인정. 전공 및 논문연구만 인정됨
주2) 의생명융합전공 : 일반선택 최대 6학점까지 인정
※ 2022학년도 2학기부터 공통전공과 융합전공을 전공으로 인정
※ 2023학년도 이후 입학 석.박사 통합과정자는 수료학점 3학점 축소됨
나. 타전공 및 타학과(부)의 교과목 이수 기준(교육과정편성및운영규정 제42조2항)
- 학과(부)장이 사전에 허가하는 타전공 및 타학과(부)의 과목 이수 시 수료학점의 1/2범위 내에서 전공학점 인정 가능
- AI전공자가 의생명융합전공 과목을 수강 or 의생명융합전공자가 AI전공 과목을 수강할때도 제출
- 신청기간 : 작성필요
- 신청방법 : 작성필요
다. 이수 무효(교육과정편성및운영규정 제6조2항)
-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과목은 박사과정에서 다시 이수할 수 없으며, 이수하였을 경우 취득한 성적은 무효로 함
- 교육과정 개정에 의하여 구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이 신 교육과정에서 교과목 명칭이 변경되어 동일교과목으로 전산 처리된 교과목은 이수할 수 없음
라. 논문연구(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규정 제37조)
- 1개 학기에 1개 강좌만 신청할 수 있음
- 각 과정별로 마지막 학기까지 순차적으로 이수하여야 함
(일반) 석사과정(4학기수료) 3,4학기 / 박사과정(4학기수료) 2,3,4학기 / 석박사통합과정(7학기수료) 3,4,5,6학기
(조기졸업) 석사과정(3학기수료) 2,3학기 / 박사과정(3학기수료) 1,2,3학기
- 학위논문 지도교수가 담당함
다만, 지도교수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동 교과목을 담당할 수 없을 경우에는 관련 전공교수가 담당할 수 있음
마. 보충과목 이수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규정 제40조)
- 하위과정의 학과(부) 또는 전공과 다른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의 학과나 전공에 입학한 학생은 보충과목을 이수할 수 있다.
다만, 하위과정에서 이미 이수한 과목은 면제할 수 있다.
- 보충과목 이수 대상자는 학과장(전공주임)의 지도를 거쳐 보충과목을 선정하여 소속 학(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보충과목을 선수과목으로 우선 이수하여야 한다.
- 석사과정의 전공과 다른 박사과정에 입학하였을 경우 전공의 기초가 되는 교과목 중에서 보충과목을 이수하여야 한다.
- 보충과목의 성적은 B급(평점3.0) 이상이어야 한다.
- 보충과목으로 이수한 학점은 취득학점과 수료학점에는 가산하지 아니하며, 취득한 성적은 평점평균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바.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강좌 이수학점 인정
- 수강과목 : 한국어초급, 한국어중급, 한국어고급 중 택 1과목(3학점 이수)
- 과목평가 : S/U *수료학점 불포함. 졸업요건만 충족
- 면제기준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성적증명서 4급 이상 소지자(국립국제교육원) / 한국어교육 800시간 이상 이수자 / 이수면제시험(언어교육원) 등
※ 기타 상세한 사항은 언어교육원(☎ 510-3406)으로 문의
3. 과정간의 학점취득 인정 (학칙 제54조 제4항)
가. 신청대상 : 석사과정에서 수료학점을 초과 이수하고 박사과정 동일학과에 진학한 경우 (박사과정 학점으로 인정)
나. 신청기간 : 작성필요
다. 신청방법 : 작성필요
4. 수업연한 단축(학칙 제36조제4항제3호)
가. 신청대상 : 본교 입학 후에 수료학점을 조기 취득하고 전 과목 평점평균이 4.25*이상인 경우
석사.박사과정은 각 6개월 범위 내에서 수업연한 단축
나. 적용대상 : 2022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 * 2022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평점평균 4.0이상
5. 수강신청 시 유의사항
가. 논문연구는 반드시 지도교수 분반으로 수강신청 가능함.
단, 지도교수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동 과목을 담당할 수 없을 경우에는 관련 전공교수 분반으로 수강신청 가능함
나. 보충과목 대상자(전산에 보충과목 대상자 등록)만 보충과목 수강신청 가능
다. 교과목번호와 분반번호를 정확히 입력하여야 하며, 교과목명과 일치하여야 함
라. 수강신청은 반드시 본인이 직접 하여야 하고, 수강신청 결과는 본인이 책임을 져야함
마. 교육과정 운영 중 연구윤리 부분 강화 특성화 교과목 편성 안내
- 교과목명 : 연구윤리 및 연구관리
- 대상 : 일반대학원 석·박사과정 학생으로서 논문연구 이수(대상)자 필수과목
※ ‘연구윤리 및 연구관리’ 미이수 시 ‘논문연구’ 수강신청 제한
※ ‘연구윤리 및 연구관리’와 ‘논문연구’를 한 학기에 동시 수강 신청 시, ‘연구윤리 및 연구관리’를 먼저 수강 신청한 후 ‘논문연구’를 신청하여야 함
- 개설학기 및 시수 : 1/2학기, 총 8시간
- 이수방법 : 온라인 강의 교육기간 내 부산대학교 스마트교육플랫폼(PLATO)에서 수강신청 해당 교과목 동영상 강의 시청
- 평가방법 : Satisfactory/Unsatisfactory, 학점 부여 없이 졸업요건에 포함
- 개설부서 : 연구진흥과 (☎ 510-3323)
바. 교육과정 운영 중 생명윤리 부분 강화 특성화 교과목 편성 안내
- 교과목명 : 생명윤리
- 대상 : 일반대학원·전문대학원·특수대학원 등을 포함하는 모든 석·박사과정생으로 인간 대상 또는 인체유래물 대상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 있는 자(단,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학생은 박사과정에서 면제함)
- 개설학기 및 시수 : 1/2학기, 총 8시간
- 평가방법 : Satisfactory/Unsatisfactory, 학점 부여 없음
- 개설부서 : 연구윤리센터 (☎ 510-3677)
-------- 담당자 참고 영역 --------------------
초과학점 / 보충과목 신청서 양식 등록
타전공 전공인정 신청서 양식 등록
과정간 학점부여 신청 양식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