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08.25
수정일
2025.08.25
작성자
성현경
조회수
49

오존, 장기이식 환자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국내 연구팀 세계 최초 규명

보라매병원·서울대병원·아산병원 공동연구, 최고 권위 ‘미국이식학회지’ 게재

출처 : 의사신문(http://www.doctorstimes.com)

 




좌측부터 차례로 김영훈 아산병원 교수, 이환희 부산대학교 교수, 이정표 보라매병원 교수, 한승현 일산백병원 교수, 유은진 포항공대 대학원생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이 장기이식 환자의 장기적인 건강에 대기오염 중 오존(O₃)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이식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인 ‘미국이식학회지(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한승현 일산백병원 교수, 유은진 포항공과대학교 대학원생이 공동 제1저자로, 김영훈 아산병원 교수, 이환희 부산대학교 교수, 이정표 보라매병원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성과는 단순한 단기 노출이 아닌 ‘장기적인 오존 노출’이 장기이식 환자의 생존율과 이식신(이식받은 신장)의 장기 기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팀은 2002~2020년 동안 국내 3개 대학병원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성인 4796명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머신러닝 기반 대기오염 예측 모델을 이용해 환자 거주지의 연평균 오존 농도와 미세먼지(PM₂.?) 농도를 산출했다. 해당 모델은 1km² 단위의 공간해상도와 우수한 예측 설명력(R²=0.964)을 보였다.

이식 후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 추적 관찰을 진행한 결과, 연평균 오존 농도가 5ppb 증가할 때 △모든 원인 사망 위험이 65% 높아졌고(HR=1.65, 95% CI=1.36?2.00), △이식신 기능상실(DCGF) 위험도 60% 높아졌다(HR=1.60, 95% CI=1.40?1.82). 

특히, 오존 농도가 약 35ppb를 넘으면, 사망·이식신 기능상실의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사망 위험’은 40ppb 이상에서는 증가 폭이 더욱 커졌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먼지 농도, 기온, 인구밀도·녹지율 등 지역사회 요인, 이식 관련 임상 지표(eGFR, Hb 수치 등)까지 모두 보정한 이후에도 일관되게 유지됐다. 

공동 1저자인 한승현 교수는 “오존 농도는 최근 수십 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온 상승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며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장기이식 환자는 환경오염에 더욱 취약하므로,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 정책 강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이정표 보라매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환경 관리가 장기이식 환자의 예후에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기후변화 시대에 맞춘 맞춤형 건강관리 전략과 환경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의사신문(http://www.doctorstimes.com)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가) 없습니다.
이전글
부산대 공동연구, 세포 프린팅으로 혈관화 피부 패치 제작 성공
이현경 2025-08-18 14:50:40.407
RSS 2.0 7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