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12006 RSS 2.0 67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부산대, 환경부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 선정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71 첨부파일 0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 교수·도시공학과 강정은 교수 선정…5년간 총 13억 원 지원선제적·능동적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 지원 위한 보건학·공학 융합 추진기후변화 대응 환경유해인자 모니터링 및 IoT 기반 취약계층 보호 맞춤형 알람 제공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는 환경부의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에 지정됐다고 26일 밝혔다.정부는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의 조사·연구와 예방·교육을 위해 2007년부터 전국 국·공립 연구기관과 대학, 국·공립병원 등을 대상으로 ‘환경보건센터’를 지정·운영하고 있다.올해는 부산대를 포함해 전국에서 4개 기관이 지정됐으며 대학으로는 부산대가 유일하게 선정됐다.부산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제공 △환경유해인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한 환경보건 격차 및 취약성 평가체계 마련 △디지털 환경보건 시스템을 통한 환경보건 취약계층 모니터링 및 환경영향 피해 예방 △지자체 및 시민 주도의 체감형 기후 및 환경보건 교육 △국가·지자체 단위 기후 및 환경보건 정책 지원 △데이터 허브로서 환경보건센터 간 데이터 공유 체계 구축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이에 따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를 파악하고 빅데이터와 AI(인공지능) 기반 위험도 및 취약성 평가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웨어러블 및 IoT(사물인터넷) 기기 등을 활용한 예방 및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디지털 소외지역과 환경보건 취약계층을 위한 오프라인 교육 및 환경보건 정보 제공 등을 수행할 방침이다.이환희 의생명융합공학부 교수는 “이번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는 지역 및 전국을 모두 다루는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 대응체계 구축에 정책적 지원을 선도할 것"이라며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운영한다”며 “AI-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향후 디지털 기반 기후변화 환경보건 전략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센터장) 교수와 도시공학과 강정은(부센터장) 교수는 ‘선제적-능동적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보건학과 공학의 융합’을 주요 기획으로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에 선정돼 2029년까지 5년간 연 2.6억 원씩 총 13억 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게 됐다. 센터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경암공학관에 위치할 예정이다.[출처: 부산대, 환경부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 선정 - 부산일보] [이환희 교수 연구팀] 의료급여 받는 청년-중년층, 여름·겨울철 응급실 30% 더 찾는다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89 첨부파일 0 출처: 의료급여 받는 청년-중년층, 여름·겨울철 응급실 30% 더 찾는다 - 부산일보 [정준수 교수팀] 3차원 신경접속장치 개발 상위 1% 저널에 게재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103 첨부파일 0 원-스텝 미세 3차원 구조 통한 고성능 신경접속장치 개발- 뇌, 척수, 망막 등 다양한 형태의 신경조직과 효과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최적 3차원 구조의 미세전자소자 제작기술 열어(정준수 교수, 엄경식 교수, 이동현 박사, 박영훈 박사과정 학생) 부산대학교 정준수 교수와 엄경식 교수 연구팀은 미세전자열성형(μETF)이라는 혁신적인 방법으로 미세한 3차원 구조를 갖춘 유연한 신경 인터페이스를 제작하여 뇌-컴퓨터 접속장치나 인공망막 장치의 신경 기록 및 자극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25년 1월 22일 JCR 기준 1.8% 최상위 논문인 npj Flexible Electronics 저널 (IF:12.3)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부산대학교 정준수 교수(의생명융합공학부)와 이동현박사, 엄경식 교수(전기전자공학부)와 박영훈 박사과정생은 플라스틱 필름을 일회용 컵, 뚜껑 등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는 열성형기술에서 영감을 얻어, 신경계를 효율적으로 기록/자극하기 위한 미세 3차원 구조의 유연성 신경접속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미세전자열성형(μETF: Microelectrothermoforming)”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뇌, 척수, 망막 등 복잡한 형태의 신경조직에 맞춤 제작된 미세전자소자를 제작하여 신경자극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임으로써 뇌-컴퓨터 접속장치, 인공망막장치 등 다양한 뇌신경공학기술의 발전에 획기적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 교수는 "테이크아웃 커피의 플라스틱 뚜껑을 관찰하면서 이번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플라스팅 성형방법을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미세구조에 활용하면 신경 접속 전자소자를 위한 3D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3차원 구조의 신경전극과 망막세포 반응 실험 결과) 신경계와 접속하여 신경신호를 기록하거나 자극하여 다양한 질병과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신경공학기술에서 생체전자소자와 신경세포의 밀접한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신경접속장치는 일반적으로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신경 조직에 밀착하는 데 한계가 있었으며, 3D 구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디자인 형태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정준수 교수와 엄경식 교수 연구팀은 플라스틱 필름을 식품용기, 포장재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플라스틱 열성형(thermoforming)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미세한 구조의 유연전자소자에 적용하여 3차원 구조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미세전자열성형(μETF: Microelectrothermoforming)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미세전자열성형 기술은 미세 전극이 내장된 얇고 유연한 폴리머 필름을 가열한 후 3D 프린팅된 몰드에 압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공정을 통해 정밀한 돌출 및 함몰 구조를 형성하여 전극이 목표 신경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도록 하면서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기존 미세 가공 방식과 달리, μETF는 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복잡한 3D 구조를 단일 MEA 내에서 구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망막 자극을 최적화한 3D 전극을 개발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망막장치 적용 가능성을 탐색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망막 실험 결과, 3D 전극은 기존 평면 전극 대비 자극 임계값을 1.7배 낮추고 공간 해상도를 2.2배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 교수는 "우리의 3D 구조는 전극을 목표 신경에 더욱 가깝게 배치하여 자극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입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의 가장 유망한 응용 분야 중 하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이다. BCI는 마비 환자의 움직임을 복원하는 데 활용될 수 있으며, 3D 신경 전극 어레이를 운동 피질에 이식하면 신경 신호를 해독하여 로봇 팔이나 휠체어를 제어하는 등의 물리적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연구팀은 웨어러블 전자 기기, 오가노이드 연구, 랩온어칩(Lab-on-a-Chip)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본 연구성과는 Yahoo파이낸스, MSN, PR Newswire, Benzinga 포함 다수의 해외언론에 소개되었다. 본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신진연구 및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되었다. - 국문: 미세전자열성형 기술을 통한 고성능 3차원 신경접속장치- 영문: MicroElectroThermoForming (μETF): One-step Versatile 3D Shaping of Flexible Microelectronics for Enhanced Neural Interfaces- 저널명: npj Flexible Electronics (JCR 상위 %: 1.8%, IF: 12.3)- 출판일: 25.01.22-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28-024-00378-0 2025년 2월 의생명융합공학부 학위수여식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253 첨부파일 0 ▣ 2025년 2월 의생명융합공학부 학위수여식 개최 - 일시 : 2024. 02. 28.(금) - 장소 :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 경암공학관 101호 □ 인사 말씀□ 재학생 송사□ 졸업생 답사□ 표창식□ 학위수여(학사)□ 학위수여(석사)□ 단체사진졸업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 부산대 연구팀, 바이오프린팅 활용 지방조직 피부 재생효과 입증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235 첨부파일 0 "조직공학 재생의학 새로운 가능성 제시" 3D 바이오프린팅 기반 지방 조직 모듈 조립체 활용 피부 재생[부산대 제공]왼쪽부터 김병수 교수, 이재성 대학원생, 안민준 박사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부산대학교는 의생명융합공학부 김병수 교수 연구팀이 3차원(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내분비성 지방 조직 조립을 통해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연구팀은 지방 조직의 내분비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조직과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신속한 조직 조립 기술을 개발했고, 이를 통해 지방 조직이 피부 조직과 효과적으로 결합해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다.지방 조직의 내분비 기능을 활용한 조직 재생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이번 연구는 생체재료와 조직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제학술지(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월 2일 자에 게재됐다.연구에 따르면 에너지 저장소를 넘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절하는 내분비 기관으로서 주목받는 지방 세포는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 신호 물질을 분비해 주변 조직과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내분비 기능은 대사 항상성과 조직 재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하지만 기존 조직공학 기술로는 지방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연구팀은 지방 조직의 내분비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조직과 결합할 수 있는 조립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연구를 진행했다.연구팀은 지방 조직을 레고 블록과 유사한 모듈 단위로 제작해 피부 진피층과 결합하는 방식을 도입했다.이어 내분비 기능을 갖춘 지방 조직을 3D 바이오프린팅을 이용해 제작하고 이를 피부 조직과 정밀하게 결합하는 어셈블리 전략이 기존 조직 공학적 접근법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재생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부산대 김병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방 조직의 내분비 기능을 활용해 피부 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 혁신적인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이 기술이 조직 공학·재생의학 분야에서 지방 조직뿐만 아니라 다기능성 인공 조직 제작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는 김 교수가 교신저자, 정보융합공학과 의생명융합전공 이재성 석박통합과정생과 의학연구원 안민준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출처]** 연합뉴스 바로가기: 부산대 연구팀, 바이오프린팅 활용 지방조직 피부 재생효과 입증 | 연합뉴스** 부산일보 바로가기: 부산대, 3D 바이오프린팅 인공 지방 피부 재생 효과 입증 - 부산일보 의생명특화총괄본부 성과공유회 경암공학관 개최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231 첨부파일 0 2025년 1월 16일(목) 경암공학관에서 의생명특화총괄본부 성과공유회가 개최되었다. 개회식을 시작으로 의생명특화총괄본부 글로컬 사업성과 발표 및연구과제별 우수 성과 발표가 있었다. 1층 로비에는 연구과제 성과 포스터 전시 및 임상실증 연구개발 제품(8개) 전시 · 체험 부스가 설치되었다.이 날 행사에는 의생명융합공학부 소속 교수 난제극복 융합교육 프로젝트(김병수 교수팀), 라이프케어 서비스 모델(백광열 교수팀) 구두 발표와난제극복 융합연구 프로젝트(장태식 교수팀, 김병수 교수팀), 라이프케어 서비스 모델 개발(백광열 교수팀)의 포스터가 전시되었다. 의생명융합공학부 재학생 4명 CES2025 참가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336 첨부파일 0 의생명융합공학부 학생 4명(21손형진, 22신윤민, 20유세영, 20하석현)과 정준수 교수는 1월 6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디지털 첨단기술 전시회인 CES (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에 참가했다.CES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가 주관하는 IT·가전 전시회지만, 최근에는 디지털헬스케어, 모빌리티와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최고의 기술을 선보이는 첨단기술 전시회로 전세계 언론의 관심을 받고 있다.학생들은 4일동안 전세계 4,000 여개의 기업이 참여한 방대한 전시장을 누비며 최신 기술 시연, 관계자 인터뷰 등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였다. 최신 디지털헬스케어 기술 동향을 직접 파악할 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글로벌 유망기술 파악 및 메가트렌드 분석 등의 그룹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하고 수행하였다.본 기회는 의생명융합공학부 학생들의 학습역량과 국제적인 학술교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차세대바이오헬스산업 혁신인재양성사업(산업통상자원부,교육부, 단장 정준수 교수)을 통해 지원하였다. 제 2회 의생명융합공학부의 날 with 디지털헬스케어융합전공 행사(2024. 12. 13)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420 첨부파일 0 2024년 12월 13일(금), '의생명융합공학부의 날'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약 100여 명의 학생과 교수님이 참여하였다. 2024학년도 2학기 6개 팀의 산학캡스톤디자인 연구 포스터 발표를 시작으로 대학원 '오픈랩' 행사가 진행되었다. 한자리에 모여 연구 결과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오픈랩' 행사를 통해 관심 있는 학생들의 랩실별 진로 및 학업 설계, 연구 분야 등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중앙 계단으로 자리를 이동하여 학부 밴드인 '데일밴드' 공연과 레크레이션 및 경품 행사로 그동안 학업에 집중하느라 애쓴 학생들에게 잠시 휴식의 시간을 선사였다. 끝으로 치킨 피자 파티로 이 행사는 마무리되었다. [2024년도 2학기 산학캡스톤 포스터 발표회] [오픈랩(의생명융합공학부 연구실 소개)][특별공연][경품추첨] [피자 치킨 파티] 정준수 교수, 2024 지속가능발전 위한 대학혁신포럼 발표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237 첨부파일 0 의생명융합공학부 정준수 교수는 12월 9~10일 부산 BEXCO에서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 주관 "202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학혁신 포럼"에 참석하여 의생명융합공학부 주관 바이오헬스인재양성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지속 가능한 대학발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했다.이번 포럼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주최로 대학혁신사업 참여 대학 및 관계자 약 1,000여 명이 참석해 대학 간 협력과 교류를 통해 공동 발전의 기반을 다지는 자리였다.이번 포럼에서 부산대 바이오헬스인재양성사업단(단장 정준수)은 바이오헬스 인재양성사업을 수행 중인 전국 8개 대학을 대표하여 행사에 참석하여 디지털헬스케어 융합전공 교육과 다양한 산합협력 프로그램의 성과를 발표하였다. ** Youtube 영상: https://youtu.be/NfRCKj4OeWk?si=E5-hJHa47df8FftK t=4433 [서민호 교수 연구팀] 장시간 지속 가능한 무선 수소 감지 센서 개발 작성자 이현경 조회수 403 첨부파일 0 의생명융합공학부 서민호 교수 연구팀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수소 가스 농도를 무선으로 검출하는 고민감도 센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수소 가스’는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고, 연소 시 오직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무색·무취의 수소는 4% 농도 이상일 때 극도로 위험한 폭발성을 띠어 안전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초고감도 수소 감지 센서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연구팀이 장시간 성능이 유지되는 팔라듐 기반의 고성능 센서를 개발해 차세대 에너지 산업 혁신이 기대된다.은백색 금속인 팔라듐(Pd)을 이용한 기존 수소 감지 센서는 민감도가 뛰어나지만, 대기 중에 노출되면 오염돼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팔라듐 표면 오염의 근본 원인을 밝히고, 이를 완벽히 제거하는 방법까지 제시했다. 【제안하는 팔라듐 수소 가스 센서 성능 회복 방법 컨셉(a~c)과 실제 제작된 팔라듐 나노와이어 수소 센서(d~g)】연구팀은 양자역학 기반의 밀도 범함수 이론(DFT)과 실험 분석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가 팔라듐 표면을 오염시키는 주범임을 밝혀냈고, 200℃의 열로 오염 물질을 제거해 팔라듐의 초기 성능을 완벽히 회복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이 기술을 바탕으로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기계전자시스템(MEMS)을 적용해 손톱 크기의 초고성능 팔라듐 수소 센서를 제작, 2달 이상 대기 중 방치된 후에도 열처리만으로 초기 성능을 완벽하게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서민호 교수는 “이번 성과는 수소 가스 누출 사고 예방과 수소 에너지의 안전성 강화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제공하며, 수소 경제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것”라고 전망했다.해당 연구 결과는 ‘Long-term reliable wireless H₂ gas sensor via repeatable thermal refreshing of palladium nanowire(팔라듐 나노와이어의 열 회복 매커니즘을 통한 장시간 지속 가능한 무선 수소 가스 센서)’라는 제목으로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온라인판 10월 9일자에 게재됐다.-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53080-0 이번 연구는 2024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중견연구지원사업과 혁신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서민호 교수팀과 나노에너지공학과 강준희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윤준보 교수 연구팀 공동으로 진행됐다.* 상단 인물 사진: 왼쪽부터 강준희 교수와 서민호 교수 [Abstract]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hydrogen (H₂) gas as a clean energy source has prompted the development of high-performance H₂ gas sensors. Palladium (Pd)-based sensors, with their advantages of selectivity, scalability, and cost-effectiveness, have shown promise in this regard. However, the long-term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Pd-based sensors remain a challenge.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exact cause for performance degradation in palladium (Pd) nanowire H₂ sensors, but also implements and optimizes a cost-effective recovery method. The results from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and material analysis confirm the presence of C = O bonds, indicating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carbon dioxide (CO₂) accumulation on the Pd surface. Based on the molecular behavior calculation in high temperatures, we optimized the thermal treatment method of 200℃ for 10 minutes to remove the C = O contaminants, resulting in nearly 100% recovery of the sensor’s initial performance even after 2 months of contamination. * Reference- Authors (Pusan National University)· Min-Ho Seo (School of Biomedical Convergence Engineering)· Joonhee Kang (Department of Nanoenergy Engineering) · Ki-Hoon Kim (Department of Inform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Title of original paper: Long-term reliable wireless H₂ gas sensor via repeatable thermal refreshing of palladium nanowire - Journal: Nature Communications- DOI: https://doi.org/10.1038/s41467-024-53080-0 처음 1 2 3 4 5 6 7 다음 페이지 끝 처음 다음 끝 fnctId=cntntsCharger,fnctNo=0